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번에 찾는 복지시설 및 정보

복지정보

[복지뉴스] 치매환자의 곁을 지키는 또 하나의 가족, 국가가 함께 합니다
  • 등록일

    2021.09.17

  • 조회수

    24

  • 시설종류

    기타

  • 카테고리

    복지뉴스

제14회 치매 극복의 날 행사 개최, 치매국가책임제 4주년 성과 소개 및 유공자 포상

보건복지부는 치매국가책임제 4년의 성과를 소개하고 치매극복을 위해 헌신한 분들에 대한 포상을 위해 16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4회 치매극복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은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최소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중앙치매센터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치매환자와 가족, 봉사자 등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다큐영상과 치매 인식개선 웹드라마, 치매가족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뮤지컬 공연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되었다.

이날 기념식에서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은 "유공자와 관계자뿐만 아니라 치매환자와 가족분들까지 정말 많은 분들의 헌신과 노력이 있어 지금까지의 성과를 낼 수 있었다"라고 하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국가도 가족'이라는 마음으로 치매환자들이 삶의 존엄성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국민여러분도 치매환자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 발표 이후 △치매안심센터 등 치매 치료·돌봄 인프라 확충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치매 의료비·검사비 부담 경감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 등 종합적 치매 관리 체계를 구축해왔다.

치매국가책임제 주요 성과 인포그래픽
치매국가책임제 주요 성과 인포그래픽

치매국가책임제의 4년간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국가치매관리 인프라 및 서비스의 획기적 개선

지역사회 치매관리의 거점기관으로서 전국 256개 시군구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고,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이 팀을 이뤄 상담과 진단, 예방활동, 사례관리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치매안심센터의 조기검진을 통해 약 18만 명이 치매를 발견했고, 47만 명의 치매환자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하여 검진, 상담과 더불어 쉼터를 통한 돌봄, 인지 강화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였다.

환자 보호자에게도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교실, 힐링프로그램 등을 통해 정서적 교류와 휴식을 제공하고 돌봄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여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였으며, 188개 분소 설치로 찾아가는 서비스의 확대, 야외 치유프로그램 연계 등을 통해 지역사회 치매관리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

국가치매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중앙치매센터(중앙)-광역치매센터(시·도)-치매안심센터(시·군·구)로 이어지는 치매정책 전달체계도 정립하였다. 치매관리법 개정으로 2021년 6월부터 중앙치매센터 운영을 국립중앙의료원에 법정 위탁하게 되면서, 보다 책임성과 안정성 있게 국가치매관리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 돌봄부담 경감을 위한 장기요양 서비스 대상 및 혜택 확대

2018년 1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인지지원등급'을 신설하여, 인지적 문제는 있지만 신체기능은 양호한 치매환자의 경우에도 주야간보호 등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8년 8월에는 장기요양비 본인 부담 경감 대상자와 경감 폭을 대폭 확대하여 2020년 총 31만명이 본인부담액을 경감받았다.

아울러 치매환자에 특화된 공립 치매전담형 노인요양시설도 확충하고 있다. 2018년부터 5년간 공립노인요양시설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치매전담형 시설 130개소 신규 건립을 추진 중에 있다.

△ 의료비 부담 완화 및 의료지원 강화

2017년 10월, 건강보험 제도개선을 통해 중증치매환자의 의료비 부담비율을 최대 60%에서 10%로 대폭 낮추었다. 이러한 건강보험 산정특례 제도 시행으로, 2021년 8월 기준 약 7만4000명의 중증치매환자가 혜택을 받았으며, 1인당 본인부담금은 126만원에서 54만원으로 평균 72만원이 낮아졌다.

전국의 공립요양병원 79개소를 중심으로 중증치매환자의 집중치료를 위해 치매전문병동을 50개소 설치하였고, 그 중 시설과 인력요건을 갖춘 5개 병원을 치매안심병원으로 지정하여 운영 중이다.

△ 치매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환경 조성

지역주민들이 치매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치매환자와 가족을 지원하는 치매 친화적 환경의 치매안심마을이 전국 505곳에 운영되고 있다. 이들 마을은 주민 주도하에 지역 특성에 맞게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인식개선·사회활동 지원 등을 통해 치매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

2018년 9월부터 의사결정 능력이 저하된 치매환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치매공공후견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후견인은 통장관리, 복지서비스 신청, 병원 진료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2021년 7월 기준, 942명의 후견인이 양성되었고, 203명의 치매 환자(피후견인)가 공공후견인의 도움을 받고 있다.

△ 치매연구 투자 확대

전 주기적 치매극복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에도 매진하고 있다. 2020년 7월 출범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을 통해 2020년부터 9년간 2000억원을 투자하여 치매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매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이후 국민들도 치매정책의 긍정적 변화를 체감하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올해 8월 실시한 대국민 설문조사에 따르면 '치매국가책임제가 치매환자와 가족에게 도움을 주었다'는 응답이 83%를 차지했다.

보건복지부는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생활을 지속하며 통합적인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이나 치매안심병원 같은 치매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는 한편, 2021년 8월부터 운영 중인 '치매정책발전협의체'를 통해 치매안심센터의 사례관리 및 지역 자원 조정·연계 역할을 강화하고,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첨부파일